제철 해산물
-
여름 제철 해산물 (6) - 남해안/서해안 : 갯장어(하모)제철 해산물 2022. 6. 10. 22:30
1. 개요 갯장어도 학술적으로 뱀장어목에 속하는 만큼 뱀장어, 붕장어하고는 친척 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는 견아려(犬牙鱺)라고 하면서 속명을 개장어(介長魚)라고 하였습니다. 한문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름의 '갯'은 갯벌이 아닌 개에서 따온 말로, 장어 중에서도 특히 이빨이 날카롭고 잘 물어서 개를 연상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빨이 날카롭기 때문에 '이빨장어'라고도 불립니다. 그만큼 날카로운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무엇이든 물려고 할 만큼 공격적인 성격입니다. 이빨이 날카롭고 강하며 아무것이나 눈앞에 있으면 물어뜯으려 하기에 장어 중에서는 가장 포악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하모(ハモ)'라고 부르며, 우리나라에서도 갯장어를 대중적으로는 일본식으로 '하모'라고 ..
-
여름 제철 해산물 (5) - 남해안/동해안 : 성게제철 해산물 2022. 6. 10. 13:02
성게는 우리나라에서 6월부터 남해안과 동해안, 특히 제주도의 대표적인 제철 해산물로 여름 산란기 직전에 알차게 되어 맛있을 때입니다. 1. 개요 성게는 우리나라에는 약 30종 정도가 서식하며, 그중 주로 식용으로 자주 채취되는 성게는 보라성게입니다. '섬게'라고도 하며, 옛 문헌에는 '해구(海毬)', '해위(海蝟)'라고도 나와 있습니다. 순우리말로는 '밤송이조개'라고 하였는데, 정약전의 '자산어보'에서는 보라성게를 한자로 '율구합(栗毬蛤)'이라 기록하였습니다. 주요 산지인 제주도에서는 '구살'이라고도 부릅니다. 2. 성게의 특징과 생태계 성게의 몸통은 공 모양이거나 심장 모양이며, 팔이 없습니다. 몸 앞뒤에 방향성은 없으나, 상하 구별은 있고, 기관 배열은 다섯 방향으로 대칭을 이룹니다. 내부는 탄산칼슘..
-
여름 제철 해산물 (4) - 서해안 : 농어제철 해산물 2022. 6. 10. 00:39
1. 개요 농어는 농어목 농엇과에 속하는 어류입니다. '농어(濃魚)'나 '농어(農魚)'가 아니라, 몸이 검다는 뜻의 '노어(盧魚)'가 변형되어 지금처럼 농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는 과거에 '魚'의 초성이 연구개 비음, 그러니까 받침 'ㅇ' 소리였기 때문인데, 잉어, 붕어, 상어, 오징어, 고등어 등 오늘날 '-어(魚)'자로 끝나는 물고기 이름들이 대체로 바로 앞에 받침 'ㅇ'을 달고 나오는 까닭입니다. 참고로 예전에는 일반 농어와 별개로 분류하였던 점농어(Lateolabrax maculatus)는 현재 농어의 동종이명으로 흡수되었습니다. 2. 농어의 특징 농어는 주로 우리나라와 대만, 일본, 중국 해역에서 서식합니다. 봄과 여름에는 얕은 바다로 모이고, 가을이 되면 번식하여 깊은 바다로 이동합니다...
-
여름 제철 해산물 (3) - 외국 : 바닷가재(랍스터)제철 해산물 2022. 6. 9. 23:50
1. 개요 영어 발음대로 랍스터, 또는 로브스터라고도 불리는 바닷가재는 말 그대로 바다에 사는 가재입니다. 갑각류이며 눈에 띄는 집게발과 단단한 등껍질을 가지고 있고, 꼬리는 물갈퀴 모양으로 뒤쪽에 지느러미처럼 펼쳐져 있어 물속에서 이동할 때 유리합니다. 육상 동물 중에서는 전갈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민물 가재와는 달리 몸이 무겁고 다릿심이 약한 편입니다. 2. 바닷가재의 생태 바닷가재는 커다란 집게로 먹이를 잡아채서 잡아먹는데, 바닷가재의 집게발은 다른 갑각류와 비교했을 때 매우 크고 사람 손가락을 두 동강 낼 만큼 완력이 상당히 셉니다. 이 때문에 바닷가재를 식자재로 취급할 때는 집게에 고무줄이나 테이프 등을 묶어놓아 사람이 다치게 하지 못하게 하고 있습니다. 먹이로는 보통 자기보다 작은 바..
-
여름 제철 해산물 (2) - 서해안 : 소라제철 해산물 2022. 6. 8. 23:19
1. 개요 소라는 원시복족목(原始腹足目) 소랏과(Turbinidae)의 연체동물을 총칭하거나 혹은 특정한 종(Turbo cornutus)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고둥과 혼동될 수 있으나 껍데기 모양으로 소라와 고둥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소라는 껍데기가 매우 단단하고 두터우면서 삐죽삐죽 뿔난 나선 모양이며, 따개비나 해조류가 많이 붙지만, 고둥 종류들은 그에 비해 껍데기가 깨끗하고 대체로 소라보다 껍데기 두께가 다소 얇습니다. 소라의 서식지는 주로 얕은 연안 해역 (최대 30m 깊이)이며, 마스카렌 제도에서부터 필리핀 등 남중국해 연안과 일본 열도 주변에 많이 서식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 연안에서 볼 수 있으나 특히 남해안에 많습니다. 남해안의 소라는 정식으로 '뿔소라'라고 하며 소라의 대표주자인데, 한..
-
여름 제철 해산물 (1) - 서해안 : 뱀장어(민물장어)제철 해산물 2022. 6. 8. 22:48
1. 개요 6월의 대표적인 제철 해산물은 뱀장어입니다. 민물장어, 일본식 초밥집에서는 우나기라고도 하는데, 장어류 중에서는 유일하게 바다와 민물(강)을 오가는 회유성 어류입니다. 참고로 뱀장어와 함께 장어류에 속하는 붕장어(아나고), 갯장어(하모), 먹장어(꼼장어)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바닷장어입니다. 학명은 Anguilla japonica이며, 학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지역에서 잡히고 유통되는 장어입니다.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며, 보통 우리나라에서 '장어'라고 하면 대부분 바닷장어인 붕장어와 뱀장어를 가리킵니다. 그만큼 우리에게 친숙한 어류인데, 최근에는 외국산 뱀장어과 품종들이 양식되어 토종을 학명인 자포니카로 따로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도 유입되..